전체보기122 [리눅스] 쉘 명령어의 사용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쉘 메타문자의 사용 쉘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일반 기호 메타문자는 경로 이름을 대체하거나, 파일/디렉토리 이름을 대체, 방향을 지정하는 방법들이 있다 ~ ~user ~+ ~- - 1. 틸드 ~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의미함 절대경로로, 계층적인 디렉토리 어디에서나 홈 디렉토리를 의미함 2. 틸드 더하기, 틸드 대시 ~+ : 이전디렉토리 경로 ~- : 현재 디렉토리 경로 3. 대시 문자 - : 이전 작업 디렉토리를 의미 바로 직전에 있었던 작업 디렉토리를 의미함 파일 이름 대체 메타문자 1. 별표 (*) 문자 아무것도 없거나 하나 이상의 문자를 대체하는 문자로 사용 2. 물음표 (?) 문자 하나의 문.. 2021. 6. 8. [리눅스] 퍼미션 이해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ls -l 한 결과를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보인다 첫번째 부분은 파일의 속성을 말한다 - 일반 파일로 바이너리 파일 혹은 아스키 파일 d 디렉토리 파일 b 블록 장치 파일 c 캐릭터 장치 파일 D 도어 파일 s 소켓 파일 l 심볼릭 파일 p 파이프 파일 첫번째 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9개의 문자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를 뜻함, 각각 3개씩 구분지어 나타냄 소유자 (User)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자 그룹 (Group) 사용자가 속한 논리 그룹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한 사용자의 기본그룹 기타 (Others) 소유자가 그룹에 속하지 않은 사용자 디렉토리 접근 권한 파일 디렉터리 읽기 r 파일의 내용을.. 2021. 5. 24. [리눅스] vi 편집기 -2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5. vi 편집기 상태 변경 환경 변수 :set nu 줄 번호를 출력 :set nonu 줄 번호를 숨김 :set ic 대소문자 구분 안함 :set noic 대소문자 구분 :set list 숨겨진 기호들을 표시 :set nolist 숨겨진 기호를 표시하지 않음 :set showmode vi 편집기의 현재 모드를 표시 :set noshownode vi 편집기의 현재 모드를 표시하지 않음 :set vi 편집기의 모든 환경변수를 출력 :set all vi 편집기의 모든 환경변수를 활성화 vim 편집기 - vi 호환 편집기 - vi 편집기의 거의 모든 기능이 호환되고 , vim 편집기만의 독자적인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편.. 2021. 5. 20. [리눅스] vi 편집기 사용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command 모드 - 명령어를 입력하여 텍스트의 삭제, 수정, 복사, 이동을 수행할 수 있음 - 특정 문구를 검색할 수 있으며 vi편집기를 종료할 수 있음 edit 모드 i - 텍스트 앞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입력을 받음 o - 새로운 줄을 생성하여 커서를 위치시키고 입력을 받음 a - 텍스트 뒤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입력을 받음 last line 모드 - command 모드에서 콜론(;) 기호를 입력 - 입력하면 화면의 가장 하단에 콜론(;)이 출력됨 vi 편집기 사용방법 vi vi 파일이름 vi 옵션 파일이름 1. read-only vi 편집기의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파일 수정 후 저장할 수 없음 종료시에는.. 2021. 5. 19. [리눅스] 디렉터리 / 파일 검색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grep - 하나 이상의 파일에서 문자패턴을 검색 grep option 패턴 파일이름 옵션 -i 대소문자 무시하고 검색 -l 검색한 단어 파일 이름 출력 -n 매칭되는 줄 번호 표시 -v 제외하고 검색 -c 검색한 단어가 몇개가 있는지 -w 오직 검색한 단어만 보여줌 정규표현식 메타문자 ^ ^apple apple으로 시작하는 줄 $ apple$ apple로 끝나는 줄 . a...e a로 시작하고, 3개의 아무문자, e로 끝남 * [a-z]* 소문자로 시작하는 모든 문자 또는 아무것도 없음 [] [Aa]pple Apple 또는 apple [^] [^a-r]pple 첫문자가 a에서 r까지 제외하고 s에서 z까지 오는 문.. 2021. 5. 8. [리눅스] 디렉터리 / 파일 내용 변경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cp - 파일의 내용을 다른 파일로 복사하는 명령어 cp option 복사할파일 복사할대상 옵션 -i 대화형 모드로 덮어쓰기를 방지 -r 디렉터리를 복사할 때 반드시 사용함 mv -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이동 - 내용은 변경되지 않음 mv option 이동할파일 이동할대상파일 touch - 아무런 내용이 없는 빈 파일을 생성함 -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빈 파일을 한 번에 동시에 생성 가능함 - 파일의 수정시간과 접근시간이 현재 시각으로 변경됨 touch 파일이름 mkdir - 새로운 이름의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옵션 -p 한꺼번에 계층적으로 디렉터리를 만듦 파일 이름변경 mv 파일이름 변경할파일이름 디렉터리 이름변경 .. 2021. 5. 4. [리눅스] 디렉터리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pwd - 현재 접근하여 작업하고 있는 디렉터리를 확인하는 명령어 디렉터리의 내용 - 디렉터리가 가지고 있는 파일 또는 하위 디렉토리를 의미함 ls - 디렉터리의 내용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옵션 -a - 숨겨진 파일을 확인 - 파일 이름 뒤에 마침표(.)가 있으면 모두 숨겨진 파일로 인식 [-a옵션으로만 확인 가능] -l - 디렉터리 안에 위치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자세한 정보를 확인 -d - 디렉터리 자체의 자세한 정보를 확인 -R - 하위 디렉토리가 있는 경우, 하위 디렉터리를 모두 확인 (단순 나열) -F - 파일의 종류을 확인 - 각 파일 이름의 마지막 부분에 기호로 표시됨 -F 명령어 기호 종류 / 디렉.. 2021. 4. 17. [리눅스] 기본 명령어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CLI 구문 - 터미널에 명령어를 내리는 명령어 라인 인터페이스 명령어 - 시스템에서 특정 직업을 하기 위해 실행하는 실행 파일 옵션 - 명령어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지정 - 일반적으로 대시 문자 뒤에 옵션을 지정함 - 옵션은 대부분 대소문자를 구분함 아규먼트 - 명령어 실행에 영향을 받는 파일, 디렉터리, 파일과 같은 항목 명령어 구문의 예 command option(s) argument(s) uname - 운영체제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옵션 -a 시스템의 모든 정보를 보여주는 옵션 -s 커널의 이름을 보여줌 -r 커널의 버전 정보를 보여줌 date - 시스템의 현재 날짜와 시간을 보여주는 명령어 cal - .. 2021. 4. 17. [리눅스] 컴퓨터의 구성요소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 RAM- 컴퓨터의 주기억 장치 -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 -> 프로그램 복사본이 RAM에 저장 RAM에서 실행 -> 프로그램 종료 전까지 상주 ->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운영체제는 해당 프로그램을 RAM에서 삭제 CPU - RAM으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실행 입/출력 장치 - 외부 장치로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하게 해줌 - 정보를 RAM으로부터 읽어드리며 출력장치로 정보를 내보냄 디스크 - 파일, 디렉터리,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데 사용함 운영체제 구성요소 커널 -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함 1. 파일시스템 관리 2. 하드웨어 장.. 2021. 4. 17. [패킷트레이서] 용어 아래 내용은 경기인력개발원의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수료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ICMP Ping - 에코요청과 에코 응답으로 구성되어 장치간의 통신산태를 테스트 하기 위해 사용 IP Address - 네트워킹 장치에 할당된 32비트의 고유 주소 Ethernet - 로컬 LAN상에서 2계층 하드웨어 통신을 위한 보편화된 LAN 표준 Fast Ethernet - 100Mbps의 속도를 가지는 고속 Ethernet 또는 포트를 의미 GUI모드에서 쉽게 ip 어드레싱 정보는 설정할 수 있다 OSI Model - 개방형 시스잼의 상호 접속 모델로 7개의 계층으로 정의됨 PDU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rotocol Data Unit)의 약자로 OSI 모델의 특정 계층에서 사용하는 고정된 크기의 데이.. 2021. 4. 17. [클라우드 운영 및 설계] 3월 22일 ~ 3월 26일 --- 2주차 3월 22일 월요일 네트워크 수업의 마지막 날이다 처음부터 네트워크 기초에 대해 전체적으로 리뷰해주셔서 좋았다 네트워크 대역에 대해 공부했다 그리고 난 전공생인데 왜 잘못하는고야??ㅋㅋㅋ큐ㅠㅜㅜㅜㅜㅜ 내가 전공생이라고 다른 사람들이 나한테 물어보는데ㅋㅋ큐ㅠㅠㅜㅜㅜㅜ모르는 부분 있으면 집에서 공부 열심히 해와야겠다 적용할 점 네트워크 대역대 나누는 것 연습하기 정의 확실히 알아두기 3월 23일 화요일 리눅스 수업을 시작했다 리눅스 공부를 기초부터 심화까지 공부하고 싶어서 이 시설을 선택했었다 첫날이라서 설치하느라 시간을 많이 보내긴 했다 거의 하루 종일 리눅스 환경을 설치하고 수업이 끝났다 그리고 기초 조금 공부한 정도?? 후기 남길 것이 없다 리눅스 설치하느라 하루 종일 보내서 없다 적용할 점 리눅스 명.. 2021. 3. 29. [클라우드 운영 및 설계] 오티 + 3월 16일 ~ 3월 19일 --- 1주차 경기인력개발원 클라우드 오티 후기 경기인력개발원에서 하는 클라우드 운영 및 설계 과정 오티가 있는 날이었다 사실 오티라고 해서 어떤 과정으로 진행이 되는지 어떤 것들을 배우는지 수업일정이나 특이사항 같은 것들을 전달해주실 줄 알았다 막상 가서 들어보니 경기인력개발원의 자랑 출석 방법 미출석 시 출석이 인정되는 범위 등등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서만 알려주셔서 당황했다;; 이때 진짜 진지하게 다른 학원을 알아봐야 하나 고민도 했었다ㅋㅋㅋㅋ 그러나 수업을 진행 중인 지금 느끼는 점은 여기를 선택하길 잘했다는 생각이다. 가볍게 이런 곳이구나 이런 부분이 출결로 인정되는구나를 듣고 올 수 있었다 3월 16일 화요일 본격적인 수업의 시작이었다 드디어 간단하게나마 어떤 식으로 진행이 되는지 어떤 것들을 배우는지.. 2021. 3. 21. 이전 1 ··· 7 8 9 10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