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를 만들어서 환경을 구성해준다
https://st-ycloud.tistory.com/67?category=961091
[AWS] AWS 인스턴스 putty 뚝딱 연결
putty로 연결하는 방법 puttygen을 열어준다 conversions에서 import key를 선택한다 인스턴스를 만들면서 저장한 키페어를 선택해준다 선택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save private key를 눌러서 저장해준다 완성
st-ycloud.tistory.com
pip으로 boto 설치해서 진행하려고 했는데 계속 설치할 수 없다고 나온다
파이썬 버전이랑 pip3리스트를 확인해봤더니 이미 설치되어 있는것으로 나와서 그냥 진행해보기로 함
python -V 파이썬 버전 확인
pip3 list 리스트 확인
sudo amazon-linux-extras install ansible2 -y 명령어로 ansible을 설치해준다
ansible --version 으로 엔서블 버전을 확인한다
통신이 잘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ansible localhost -m ping 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성공!
엔서블 서버에서 호스트 정보를 입력해준다
사진처럼 vim /etc/ansible/hosts로 들어가서 수정하면 수정권한이 없다고 나오길래 앞에 sudo 붙여줘서 했더니 저장됐다
sudo vim /etc/ansible/hosts 이렇게
입력한 host들이 연동이 되는지 확인한다
ansible all -m ping
등록한 호스트의 갯수만큼 yes를 입력해준다 (아직은 접근권한이 없는 상태)
cd ~/.ssh/으로 이동해서 ssh-keygen -t rsa 입력해준다
그리고 계속 enter
ssh-keygen -t rsa
-t rsa는 rsa 암호화 방식으로 키를 생성한다는 의미
https://st-ycloud.tistory.com/99
ssh-keygen -t rsa
ssh 방식으로 키를 등록한다는 것은 비밀번호로 파일을 사용한다는 의미 따라서 안전성이 높아진다 서버에 ssh접속을 암호 없이 하고자 할 경우 공개키와 개인키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음 RSA (공
st-ycloud.tistory.com
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 => ssh 키를 생성함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home/ec2-user/.ssh/id_rsa): => 기본경로에 키를 저장함
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 => 비밀번호를 입력함 (엔터시 비밀번호 없음)
Enter same passphrase again: => 비밀번호 재확인 다시 입력
Your identification has been saved in /home/ec2-user/.ssh/id_rsa.
Your public key has been saved in /home/ec2-user/.ssh/id_rsa.pub.
=> 경로 확인
id_rsa => private key 타인에게 노출 불가
id_rsa.pub => public key
이후 내용 여기에!
https://st-ycloud.tistory.com/100
앤서블에 호스트 추가하기
여기랑 이어집니다 https://st-ycloud.tistory.com/98 AWS EC2에서 엔서블 설치하기 AWS EC2를 만들어서 환경을 구성해준다 https://st-ycloud.tistory.com/67?category=961091 [AWS] AWS 인스턴스 putty 뚝딱 연..
st-ycloud.tistory.com
'DevOps > Ans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inux2] Playbook 만들기 - 파일 복사하기 (0) | 2021.12.27 |
---|---|
[aws linux2] Playbook 만들기 - update, shutdown (0) | 2021.12.16 |
[aws linux2] 출력 내용 저장하기 (0) | 2021.12.15 |
[aws linux2] 호스트 명령 내리기 (0) | 2021.12.10 |
[aws linux2] 앤서블에 호스트 추가하기 (0) | 2021.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