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방식으로 키를 등록한다는 것은 비밀번호로 파일을 사용한다는 의미
따라서 안전성이 높아진다
서버에 ssh접속을 암호 없이 하고자 할 경우 공개키와 개인키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음
RSA (공개키알고리즘)
ssh-keygen -t rsa를 실행하면 2가지 키가 생성됨 1. 공개키 2. 개인키
1. 공개키 => ~/.ssh/id_rsa.pub
2. 비공개키 => ~/.ssh/id_rsa
비공개키는 클라이언트에 위치 / 공개키는 서버에 위치
SSH 접속을 시도하면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의 비공개키와 서버의 공개키를 비교하면서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출처
https://www.maxchung.com/2015/11/09/ssh-rsa-key%EC%97%90-%EB%8C%80%ED%95%B4%EC%84%9C/
SSH RSA key에 대해서
Conoha vm 생성기에서 ssh 키 등록을 하라고 했었다. 그냥 하면 좋다고만 하면 좀 무책임한 것 같아서 하는 이게 뭔지 어떻게 쓰는지 글을 좀 남겨봐야겠다. 우선 ssh 키를 등록한다는건 제일 쉽
www.maxchung.com
https://opentutorials.org/module/432/3742
SSH Key -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 - 원격제어
SSH Key란? 서버에 접속 할 때 비밀번호 대신 key를 제출하는 방식이다. SSH Key는 언제 사용하는가? 비밀번호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을 필요로 할 때 로그인 없이 자동으로 서버에 접속 할 때 SSH Key
opentutorials.org
'클라우드 운영 및 구축 [경기인력개발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fana에 관한 공부 (0) | 2021.08.30 |
---|---|
Grafana 처음 써본사람 티내기 (0) | 2021.08.27 |
5분안에 AWS EC2 linux에 Grafana 설치하기 (0) | 2021.08.25 |
[AWS] Amazon Cloudwatch (0) | 2021.08.09 |
[GCP] Cloud SQL 내보내기 & 가져오기 (0) | 2021.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