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21

EKS - Kubectl 설치 일단 kubectl이 설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 grep Client | cut -d : -f 5 1. 설치하기 Kubernetes 1.23 curl -o kubectl https://s3.us-west-2.amazonaws.com/amazon-eks/1.23.7/2022-06-29/bin/linux/amd64/kubectl 다른 Kubernetes버전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2. 바이너리에 실행 권한을 적용한다 chmod +x ./kubectl 3. 바이너리를 PATH 폴더에 복사 mkdir -p $HOME/bin && cp ./kubectl $HOME/bin/kubectl && export PATH=$PATH:$HOME/bin 4. kubectl을 설치한 이후 다음.. 2023. 1. 5.
AWS CLI 설치하기 1. 업데이트하기 sudo apt-get update 2. awscli 설치하기 sudo apt-get install awscli 3. aws cli 버전 확인하기 aws --version 2023. 1. 5.
멍청이 짓 했는데 기억 안 날 때 열어보렴! -AWS 편 ~계속하는 멍청이짓 기록~ EC2 만들었는데 퍼블릭 IPv4가 없을때 VPC 변경하고 퍼블릭 ip자동 할당하기 VPC 설정 VPC 설정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나면 라우팅 테이블에 0.0.0.0/0으로 인터넷게이트웨이 추가하기 2023. 1. 3.
ami 리전 변경하기 이미지의 리전을 변경할 것이다. 이미지를 선택해 우클릭 -> AMI 복사 이미지를 다른 리전으로 복사한다 AMI복사를 누르면 상단에 아래와 같은 팝업이 나타난다 오른쪽 상단을 보면 오레곤으로 이미지가 복사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끗~~ 2022. 11. 3.
[AWS] ami 공유 AWS에서 공유받은 ami를 다시 공유해볼 예정이다 EC2에서 이미지 AMI로 들어간다 이미지 -> AMI 공유받은 이미지라서 그런지 권한 탭이 존재하지 않는다🥲 복사하려고 했던 이미지를 이용해 인스턴스를 만들어준다 AWI로 인스턴스 시작 새로 만든 인스턴스를 찾아서 우클릭 -> 이미지 및 템플릿 -> 이미지 생성 이미지를 생성해준다 이미지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한다 이미지를 클릭해서 권한 탭으로 들어간다 -> 계정 ip 추가 공유할 계정 ip를 넣어준다 id를 확인하고 "권한을 생성할 때 연결된 스냅샷에 '볼륨 생성' 계정 권한을 추가합니다."를 체크해준다 공유한 계정으로 들어가서 이미지가 잘 공유 되었는지 확인한다 완료~!~! 2022. 11. 3.
AWS 키 페어 가져오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Puttygen으로 public키를 만들고 그걸 가져와서 넣으면 가져올 수 있다 EC2 -> 네트워크 및 보안 -> 키 페어 -> 작업 -> 키페어 가져오기 puttygen에서 public key를 생성한다 해당 키페어를 선택하고 열기를 누른다 Save Public Key로 눌러서 public key를 만들어준다 EC2 -> 키페어 -> 키페어 가져오기에서 찾아보기를 누른 후 만들어준 public key를 넣어준다 정상적으로 들어갔음을 확일할 수 있다~! 2022. 5. 10.
[Ubuntu] EC2 인스턴스 ubuntu에 MongoDB 설치하기 login as : ubuntu wget -qO - 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5.0.asc | sudo apt-key add - 명령어를 이용해 MongoDB 공개 GPG 키를 가져온다 lsb_release -dc 명령어로 ubuntu 버전을 확인한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Ubuntu 20.04(Focal)용 파일을 생성한다 echo "deb [ arch=amd64,arm64 ] https://repo.mongodb.org/apt/ubuntu focal/mongodb-org/5.0 multivers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mongodb-org-5.0.list sudo apt-get update로 업데이트를 해준다 .. 2021. 12. 28.
[aws linux2] EC2 인스턴스 linux에 MongoDB 설치하기 인스턴스를 만든 후 sudo vim /etc/yum.repos.d/mongodb-org-5.0.repo 파일을 만들고 아래 내용을 넣어준다 [mongodb-org-5.0] name=MongoDB Repository baseurl=https://repo.mongodb.org/yum/amazon/2/mongodb-org/5.0/x86_64/ gpgcheck=1 enabled=1 gpgkey=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5.0.asc sudo yum install -y mongodb-org로 mongodb를 설치해준다 sudo vim /etc/yum.conf 으로 들어가서 아래 지시문을 추가해준다 exclude=mongodb-org,mongodb-org-datab.. 2021. 12. 28.
EC2에 저장된 파일을 S3로 저장하기 / 불러오기 EC2에 AWS CLI가 설치가 되어 있는지 aws --version을 통해 확인한다. CLI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sudo apt install python-setuptools python3-pip -y sudo pip install awscli 순서대로 명령어를 실행시키면서 AWS CLI를 설치해주자 ec2에 s3을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서 작업 > 보안 > IAM 역할 수정을 한다 새 IAM 역할 생성을 누른다 IAM역할로 연결되는데 여기에서 역할 만들기를 눌러준다 AWS 서비스 EC2를 선택하고 다음 검색창에 s3를 입력하고 AmazonS3FullAccess를 선택해 모든 권한을 받을 수 있게 한다 역할 이름을 적어두고 역할을 만든다 역할에 아까 만들어준 역할이 나오면 그거 선택해서 저장.. 2021.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