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CP

GCP 4

by ssyeon 2022. 12. 28.

 

Cloud Load Balancing

한번에 많은 요청으로 트래픽이 증가했을 때 이를 처리할 수 있을만큼 여러 대의 VM에 트래픽을 분산하여 보내, 부하발생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가동준비작업

다른 로드밸런싱은 많이 부하들이 한번에 들어오면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그만한 부하를 일정 시간 주어서 로드 벨런싱 크기를 키우는 작업

 

GCP 로드밸런싱은 이런 가동 준비작업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최대 범위까지 확장할 수 있음

단일 애니케스트 ip 가 모든 백앤드 인스턴스의 프런트앤드가 됨 -> 따라서 한번에 많은 양의 트래픽을 받게 되었을 때 드래픽 처리가 가능한 다른 지역으로 트래픽을 우회시켜 대규모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게 됨

 

 

 


 

 

 

 

Global Load Balancing

글로벌하게 서비스가 이뤄져야 할 때 하나의 애니케스트 ip를 통해서 전역으로 부하분산이 이뤄지며, IPv6을 지원함

 

Regional Load Balancing

하나의 지역에 집중적으로 트래픽이 발생할 때 이용할 수 있고 오직 IPv4 만 지원함

 

 

 


 

External Load Balancing (외부)

VPC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서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이용 

 

Internal Load Balancing (내부)

다른 네트워크 사용 없이 VPC 네트워크 내에서만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이용

 


 

 

 Auto Scaling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서 VM 이 자동으로 증가하고 감소하는 기능

인스턴스 그룹을 통해 설정 가능

급격하게 트래픽이 증가하면 동종 인스턴스들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이를 분산하게 되고, 트래픽이 감소하여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생성된 인스턴스들이 자동으로 감소함

 

여러가지 기준으로 자동 오토스테일링을 지원함

1. CPU 사용률

인스턴스 그룹의 평균 CPU 사용률을 관찰하려 원하는 사용률을 유지하도록 인스턴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함

CPU 사용 구성에 유용

 

2. 로드 밸런싱 사용량

사용량을 관찰하여 조절하며, 로드밸런싱 백엔드 서비스에서 정의함

 

3. Stackdriver Monitoring

Stackdriver는 GCP 내의 리소스들을 자동으로 또는 맞춤으로 모니터링하고 로깅해줄 수 있는 서비스

 

 

 

 

 

반응형

'G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CMEK 만들어서 사용해보기  (1) 2023.12.20
GCP Composer  (0) 2023.04.03
GCP 3  (0) 2022.12.27
GCP 2  (0) 2022.12.13
GCP 1  (0) 2022.11.28

댓글